가타오카 사토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타오카 사토시는 일본의 바둑 기사로, 1967년 일본기원 원생이 되어 1972년 프로 기사가 되었다. 1977년과 1978년 류엔배에서 우승하고, 1982년 천원위를 획득하며 첫 타이틀을 차지했다. 1990년 학성전, 1993년과 1998년 조기선수권에서 우승했으며, 1994년 본인방전에서 조치훈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2020년에는 통산 1100승을 달성했다. 1979년 신인상, 1982년 수훈상, 1996년 최다 대국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바둑 기사 - 요다 노리모토
요다 노리모토는 1980년 프로 입단 후 1100승을 달성하고 명인전 4연패, 삼성화재배 우승 등 국내외에서 활약하며 일본 바둑계에 큰 족적을 남긴 최정상급 프로 바둑 기사이다. - 일본의 바둑 기사 - 오청원
중국 출신 바둑 기사 오청원은 20세기 최고의 기사 중 한 명으로, 신포석 창안, 십번기 압승, 본인방 슈사이와의 명승부 등 바둑사에 큰 족적을 남겼으며 그의 이론과 철학은 현대 바둑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지바현 출신 - 미우라 켄타로
미우라 켄타로는 1966년 일본에서 태어나 2021년 사망한 만화가로, 다크 판타지 만화 《베르세르크》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유작은 모리 코우지의 감수 하에 연재가 이어지고 있다. - 지바현 출신 - 나가노 코이치
나가노 코이치는 도쿄 디즈니랜드 근무 후 81프로듀스를 거쳐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일본의 성우로, 애니메이션, 게임, 외화 더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아이실드 21》의 쿠리타 료칸, 《원피스》의 헬메포, 《스타워즈》 시리즈의 루크 스카이워커 더빙으로 알려져 있다. - 1958년 출생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1958년 출생 - 이재갑 (공무원)
이재갑은 행정고시 합격 후 노동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고용노동부 장관을 역임하고 최저임금 인상 등 노동 정책을 추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가타오카 사토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가타오카 사토시 |
한자 표기 | 片岡聡 |
출생일 | 1958년 8월 3일 |
출생지 | 마쓰다, 일본 |
거주지 | 도쿄, 일본 |
스승 | 사카키바라 쇼지 |
입단 | 1972년 |
단 | 9단 |
소속 | 일본기원 |
타이틀 정보 | |
주요 타이틀 | 기성 명인 혼인보 (도전, 1994) 천원 (2기, 1982-83) 왕좌 기성 십단 |
명인전 리그 | 해당 사항 없음 |
기성전 리그 | 해당 사항 없음 |
혼인보전 리그 | 해당 사항 없음 |
2. 생애
가타오카 사토시는 1972년 14세의 나이로 프로 기사가 되었다. 1988년에 9단으로 승단했다. 1991년 중일 슈퍼 바둑에서 3연승을 기록했다. 1994년 본인방전에서 조치훈에게 도전했으나, 7국까지 가는 접전 끝에 최종국 중반에 코를 당하는 수를 간과하여 패했다. 2000년, 2001년 연속으로 기성전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2001년 바둑의 시간 강사를 맡았다. 2008년에 통산 900승, 2020년 7월에 역대 16번째, 일본기원 역사상 14번째로 통산 1100승을 달성했다. 통산 성적은 1100승 598패 4무승부이다.[1] 취미는 재즈 드럼으로, 야마시타 요스케 등과 세션을 하기도 한다.
2. 1. 초기 경력
가타오카 사토시는 1967년에 일본기원 원생이 되었고, 1972년 14세의 나이로 프로 기사가 되었다.[1] 이후 좋은 성적을 거두어, 동세대의 야마시로 히로시, 왕리청, 고바야시 사토루 등과 함께 젊은 유망주로 기대를 모았다. 1977년, 78년에 류엔배를 연달아 우승했다. 1979년에는 5단으로 천원전 결승에 진출하여, 가토 마사오 9단에게 0-3으로 패해 준우승했다. 1982년에 24세의 나이로 천원위를 획득하여 첫 타이틀을 차지했다.[1]1985년 8단, 1988년 9단으로 승단했다.[1]
2. 2. 전성기
1967년에 일본기원 원생이 되었고, 1972년 입단했다. 이후 좋은 성적을 거두어, 동세대의 야마시로 히로시, 왕리청, 고바야시 사토루 등과 함께 젊은 유망주로 기대를 모았다. 1977년, 78년에 류엔배를 연달아 우승했다. 1979년에는 5단으로 천원전 결승에 진출하여, 가토 마사오 9단에게 0-3으로 패해 준우승했다. 1982년에 24세의 나이로 천원위를 획득하여 첫 타이틀을 차지했다.1985년 8단, 1988년 9단으로 승단했다. 1991년 중일 슈퍼 바둑에서 3연승을 기록했다.
1994년 본인방전에서 조치훈에게 도전했으나, 7국까지 가는 접전 끝에 최종국 중반에 코를 당하는 수를 간과하여 패했다.
2000년, 2001년 연속으로 기성전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2008년에 통산 900승을 달성했다.
2001년 바둑의 시간 강사를 맡았다. 취미는 재즈 드럼으로, 야마시타 요스케 등과 세션을 하기도 한다.[1]
2. 3. 국제 대회 활약
대회 | 1984년 | 1986년 | 1991년 | 1992년 | 1994년 | 1996년 |
---|---|---|---|---|---|---|
동양증권배 세계 선수권 대회 | 8강 | 8강 | ||||
중일 바둑 교류 | 2-1-1 첸위핑 | |||||
중일 슈퍼 바둑 | 0-1 (×장주주) | 1-1 (○마샤오춘, ×녜웨이핑) | 3-1 (○정홍, ○랴오구이융, ○량웨이탕, ×장원둥) | 0-1 (×마샤오춘) | 0-1 (×차오다위안) |
2. 4. 본인방전 도전
1994년 본인방전에서 조치훈에게 도전했으나, 7국까지 가는 접전 끝에 최종국 중반에 코를 당하는 수를 간과하여 3-4로 패했다.[1]2. 5. 꾸준한 활동
1967년에 일본기원 원생이 되었고, 1972년 입단했다. 이후 좋은 성적을 거두어, 동세대의 야마시로 히로시, 왕리청, 고바야시 사토루 등과 함께 젊은 유망주로 기대를 모았고, 1977년, 78년에 류엔배를 연달아 우승했다. 1979년에는 5단으로 천원전 결승에 진출하여, 가토 마사오 9단에게 0-3으로 패해 준우승했다. 1982년에 24세의 나이로 천원위를 획득하여 첫 타이틀을 차지했다.1985년 8단, 1988년 9단으로 승단하였다. 1991년 중일 슈퍼 바둑에서 3연승을 기록했다.
1994년 본인방전에서 조치훈에게 도전했다. 7국까지 가는 접전 끝에, 최종국 중반에 코를 당하는 수를 간과하여 패했다.
2000년, 2001년 연속으로 기성전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했다. 2008년에 통산 900승을 달성했다.
2001년 바둑의 시간 강사를 맡았다. 취미는 재즈 드럼으로, 야마시타 요스케 등과의 세션도 하고 있다.
2020년 7월에 역대 16번째, 일본기원 역사상 14번째로 통산 1100승을 달성했다. 통산 성적은 1100승 598패 4무승부이다.[1]
3. 수상 경력
타이틀 | 보유 연도 |
---|---|
현역 | 3 |
천원 | 1982, 1983 |
신인왕전 | 1982 |
폐지 | 3 |
학성 | 1990 |
속기 선수권전 | 1993, 1998 |
타이틀 | 준우승 연도 |
---|---|
현역 | 4 |
본인방전 | 1994 |
천원 | 1979, 1984, 1993 |
4. 저서
5. 입상 및 승단 기록
가타오카 사토시는 1972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1] 1988년에 최고 단수인 9단에 올랐다.
단 | 입단 년도 |
---|---|
초단 | 1972년 |
2단 | 1973년 |
3단 | 1975년 |
4단 | 1976년 |
5단 | 1977년 |
6단 | 1981년 |
7단 | 1982년 |
8단 | 1985년 |
9단 | 1988년 |
5. 1. 입상 기록
- 1967년 일본기원 원생
- 1972년 입단, 초단
- 1973년 2단 승단
- 1975년 3단 승단
- 1976년 4단 승단
- 1977년 5단 승단
- 1979년 제5기 천원전 준우승(상대 가토 마사오 0-3)
- 1981년 제6기 기성전 5단전 우승, 제25기 수상배(당시 총리 나카소네 야스히로) 준우승, 6단 승단
- 1982년 7단 승단, 제7기 신인왕전 우승, 첫 타이틀(상대 요다 노리모토 2-0), 제8기 천원전 우승 (상대 가토 마사오 3-2)
- 1983년 제9기 천원전 우승 (2연패, 상대 아와지 슈조 3-1)
- 1985년 8단 승단
- 1988년 9단 승단
- 1990년 제12기 학성전 우승
- 1993년 제26회 조기선수권 우승
- 1994년 제49기 혼인보 준우승 (상대 조치훈 4-3)
- 1998년 제31기 조기선수권 우승
- 2008년 제33기 기성전 리그예선 진출, 제64기 혼인보 리그예선 진출
- 2018년 제8회 일본 마스터즈컵 준우승 (상대 요다 노리모토)
- 1977, 78년 류엔 쟁탈 속기 토너먼트전 우승
- 기성전 각 단전 우승
- * 5단전 1981년
- * 8단전 1988년
- * 9단전 1996년
- 1981년 총리대신배 쟁탈전 준우승
- 2024년 테이케이 그룹배 레전드전 우승
타이틀 | 횟수 | 연도 |
---|---|---|
천원전 | 2 | 1982, 1983 |
신인왕전 | 1 | 1982 |
학성전 | 1 | 1990 |
속기 선수권전 | 2 | 1993, 1998 |
테이케이 그룹배 레전드전 | 1 | 2024 |
류엔 쟁탈 속기 토너먼트전 | 2 | 1977, 1978 |
소계 | 7 |
5. 2. 승단 기록
단 | 입단 년도 |
---|---|
초단 | 1972년 |
2단 | 1973년 |
3단 | 1975년 |
4단 | 1976년 |
5단 | 1977년 |
6단 | 1981년 |
7단 | 1982년 |
8단 | 1985년 |
9단 | 1988년 |
6. 출연
바둑·장기 채널의 기력 향상 위원회 The PASSION!!(2019년~)에 출연했다.
6. 1. 텔레비전
- 바둑·장기 채널의 기력 향상 위원회 The PASSION!!(2019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